하루에 2개 포스팅은 또 처음이네요;;
자 저번 시간에는 조건문에 대해서 다같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이제 제목에 나와있듯이 반복문을 시작할 차례겠죠?
반복문
반복문을 간단히 말하자면 음... 일종의 단순노동을 대시해주는 구문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우리가 1을 한 100곳에 대입하여 출력해야 한다든지, 1~10까지의 합을 구하는 과정을 출력해야 한다든지와 같은 단순 코딩으로는 구조가 같은 문장을 수십번을 써야 하는 작업을 간단명료하게 끝내게 해주는 저희 정신건강을 지켜주는 구문이죠 ㅎㅎ
반복문의 종류는
- while -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반복
- for문 -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
이렇게 두 종류가 있습니다. 종류를 두 종류로 나눠 놓긴 했지만, 코드별로 역할이 뚜렷하다고 제가 말했었다 시피 두개의 구문의 역할이 틀립니다. 그래서 단독보다는 혼합하여서 많이 쓰여지니 2가지 모두 잘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While문
- ~하는 동안, ~하는 동안에 라는 뜻의 구문
- 조건 식이 참이면 문장이 끝나는 곳에서 조건식으로 들어와 반복하는 구문
- 조건 식이 거짓이면 반복문종료
아직까지는 간단합니다.
그럼 하지만 다음 같은 코드는 for문으로 가능 한 코드입니다. 그럼 while문은 어떨 때 주로 쓰냐? 라고 물어보신다면
무한 루프문에서 가장 애용됩니다.
보통 프로그램을 돌리게 되면 옳지 않다라고 하고 바로 종료되는 프로그램은 별로 없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돌아가 옵션을 선택하도록 되는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죠 이때 사용하는 것이 while 무한 루프문입니다.
!!!!
하지만 조심하셔야 되는게 말그대로 무한으로 돌아가는 코드이기에 정지키워드가 없이 돌렸다가는 컴퓨터에 부하가 강하게 걸릴 수 있습니다.
!!!!
자 이제 break 구문도 배울겸 무한루프 구문을 한번 만들어 봅시다.
1) while Treu: 로 조건을 잡겠습니다.
2) 1씩 증가하는 코드를 짭니다. += 연산자 사용
3) if == 4: break 구문 을 넣습니다.
'
'
'
왼쪽은 무한루프 문으로 break가 없으면 무한으로 숫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가능하실 겁니다.
break는 말그대로 정지 continue는 이 조건은 그냥 넘어가 라는 뜻으로 간단하게 짝수 구별기로 확인하면
보이는 것 처럼 처음 1이 들어가면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아니니 홀수이다. 그러니 넘어가서 다음 숫자로 들어와라 라는 뜻으로 활용된다는 점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이제 while 문 마지막으로 실습을 하나 해봐야 겠져?
실습
- 사용자에게 숫자를 입력받아, 그 숫자가 양수일 경우 1 부터 해당 숫자까지의 합을 계산하고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 양수만 입력 가능, 음수나 숫자가 아닌 값이 입력되면 "양수만 입력하세요." 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입력을 받습니다. (힌트: .isdigit 사용)
- 0이 입력되면 그 값은 건너뛰고, 다시 입력을 받습니다.
- "종료"라고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 양수가 입력된 경우, 1부터 해당 숫자까지의 합을 계산하여 "1부터 n까지의 합은 X입니다."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
'
'
'
For 문
- for 문은 주어진 시퀀스의 요소를 순회하며 반복실행
- 시퀀스: 문자열, 리스트, 튜플, range() 등
while 문이 코드 전체를 다루는 반복문이라고 하면 이 for문은 하나의 프로그램을 반복하는 구문정도로 알고 있으시면 됩니다.
for문의 활용성은 시퀀스에 다양함과 똑같기 때문에 매우 활용적입니다.
대표적으로
- range(start_num, end_num, step) 끝 숫자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10을 출력하고 싶으시면 end를 11로 설정
- list 보통 for 변수 in 리스트 로 표현 되며 리스트에 있는 값을 추출
- 딕셔너리 튜플 모두 리스트와 동일
뭐 이정도만 알면 이미 for문의 개념 틀을 만들어 진 것입니다. 그러니 실습으로 내용을 채워 볼까요?
가장 대중적인 코딩 구구단을 만들어 봅시다
실습. 구구단
- 단을 입력받습니다. ("몇단을 출력할까요?"
- 9까지의 곱을 출력합니다.
간단하죠? 아 그리고 저기 print(f " " ) 형은 중괄호와 함께면 변수를 print에 직접 넣을 수 있습니다.
꿀 팁입니다!!
그럼 이제 조건문에도 중첩이 있었으니까? 반복문도 존재하겠죠?
for 문 안에 for문으로 if 문과 같이 먼저 가장 앞에있는 for문을 통과해 값을 받고 두번째 for문으러 들어가 두번째 for 문이 끝날때 까지 돌은후 다시 나오고 다시 들어가는 형식입니다.
글로는 잘 모르시겠죠;;;;
파란 동그라미가 첫 번째 for문 빨간 네모가 두 번째 for 문입니다.
안에 있는 for문이 끝나야 밖에 있는 for문이 작동한다. 이 개념을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실습, 구구단 2~9까지 전체 출력을 해보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
'
'
'
'
더 자세한 반복문을 보고 싶다면 하루코딩에 과자 자판기 프로그램을 확인해 주세요!!!
오늘도 같이 공부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python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e]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0) | 2024.11.30 |
---|---|
Python Def 함수선언 (2) | 2024.11.29 |
Python 조건문과 반복문 (1) | 2024.11.27 |
Python 다양한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2) (0) | 2024.11.26 |
Python 다양한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