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시작하기

Python 기초문법

728x90
반응형

저번 포스팅때 Python에 대해서 아주 간단히 배웠습니다. 그럼 이 글까지 오셨으니 Python에 대하여 관심이 있으시고 다운로드 까지 받아왔다고 생각 하겠습니다.

coding이란 우리가 열심히 개발한 프로그램을 결과로 도출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즉, 아무리 열심히 개발을 하더라도 출력을 못하면 헛고생이 되는 겁니다. XD

그러니 이번 포스팅에는 간단한 연산자와 출력을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Print

이 단어를 들으시면 무슨 생각이 드십니까?????

찍어내다?, 복사하다?, 출력하다?

네 다 맞습니다. 우리가 만든 내용을 복사하여 찍어서 출력합니다. 뭐든 기계언어들은 출력하는 코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Python에서는 이 print()라는 명령어 입니다.

그럼 간단히 "Hello, World"를 출력 해봅시다.

Hello, World가 제대로 출력 되는 것이 확인 된다면 제대로 작동하는 겁니다.

지금 처럼 print() 함수안에 문장을 " " 사이에 작성하여 출력 하도록 할 수있지만, 이제 문장이 길어지거나 리스트 목록에서 불러올 때, 또 연산이 필요할 때는 각각의 인수를 정하여 출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니 인수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 봅시다.

일단 이러한 인수를 입력하는 것을 변수 입력이라고 합니다.

변수는 3가지의 자료형이 있습니다.

1) 정수형 int형

2) 실수형 float형

3) 문자형 char형

이 있습니다.

이제 저희는 문자열을 변수로 받았어 출력할 것이므로 문자형을 인수로 입력해봅시다.

자 다음과 같이 입력 할 경우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네 여려분들이 속으로 말한 "Hello, World"의 결과 값이 출력 됩니다.

근데 지금 쯤 뭔가 재밌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만약 내가 "Hello, World" 부분을 미리 정하지 말고 코드 실행시 원하는 내용을 입력할수는 없을까? 라는 의문 말입니다.

 

이럴떄 사용하는 것이 input() 함수 입니다.

변수이름 = input("원하는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다음과 같이 입력 하면 어떤 식으로 나올지 확인해 봅시다. 

다음과 같이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있습니다.

연산자

연산자란? 우리에게는 더욱 익숙한 표현으로는 수식들을 말합니다. 코딩에서 수식을 쓸떄에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출처> 코딩온 강의자료

하나하나 설명하기 보다는 코딩으로 직접 입력해보면 직관적이고 좋을것 같으니, 바로 해봅시다.

실습

1) 인수 2개를 입력받습니다,( 실행시 입력 input 활용)

2) input은 문자열이니  정수형으로 바꾸시길 바랍니다.(int활용)

3) 위 연산자 순서로 print 하십시오.

'

'

'

'

해답

모두 잘 하셨다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럼 이제 기본적인 산수를 하였으니 코딩적인 산수를 진행 해봅시다.

<출처>코딩온 강의자료

이제 부터는 뭐지? 라는 소리와 함께 위수식을 한 번더 보셨을 겁니다. 네 코딩은 코드가 조금더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보이게 개발 되었기에 같은 단어나 같은 숫자가 들어가는 것을 생략하거나 치환합니다. 그래서 위같은 복합대입연산자가 생기게 된 겁니다.

실습

1) 숫자 인수 2개를 입력합니다.

2) 위 연산자 순서로 print 하십시오.

'

'

'

'

해답(참고, 코드가 진행될때 마다 Val값은 재할당 되는것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마무리로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만 비교 하고 마치겠습니다.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IN연산자

오늘도 같이 공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때 만나길 바랍니다.~~~

+ 포메팅(formating)

"문자열" %출력값 형태

%d: 정수
%f: 실수 (%.숫자는 소수점 자리수)
%s: 문자열
%c: 문자 (% 뒤 숫자는 문자열 길이)

ex)
number = "저는 올해 %d살 입니다." %20
year = "올해는 %d년 %s의 해이다." %(2024, "용띠")

문자열.format() 형태:

  • {} 안에 숫자나 이름을 넣고 그와 대응되는 값을 넣는 형태
  • 숫자를 넣은 경우: format() 안의 값이 0부터 1:1 대응
  • 이름을 넣은 경우: format() 안에 이름 = 값 형태
  • 아무것도 안 넣은 경우: format() 안에 있는 것들이 순서대로 대응

ex) #여기서 []는 공백을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숙제

1)  Hello, World라는 인수를 저장합니다.

2) 논리연산자와 In연산자를 활용하여 True, False값을 출력해보시길 바랍니다.

'

'

'

'

예시

반응형